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Backend] CloudWatch 이론
    Backend 2025. 4. 29. 22:51
    반응형

     

    CloudWatch?

    AWS에는 아주 다양한 서비스가 있다.그리고 이러한 서비스들을 모니터링해야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AWS에서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각 서비스의 지표를 감시해 알림을 보내고 임계값을 넘거나 한다면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지표

    만약, "EC2 인스턴스의 CPU 점유율을 보고 싶다""RDS 인스턴스의 CPU 점유율을 보고 싶다" 라고 한다면, EC2, RDS 는 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Namespace 가 되고 CPU 점유율은 지표값(metric)이 된다.

    위 표와 같이 AWS 리소스를 가지고 있다고 하면 EC2, RDS 는 Namespace 라고 하며 인스턴스 개별로 보거나 인스턴스 유형(type) 으로 묶어서 보거나 또는, 같은 오토스케일링 그룹으로 묶어서 보는 것을 Dimension 이라고 한다.

    CPU 자원 사용률은 Metric 값이 된다.

     

    자원 사용률에 대한 평균, 최대, 최소 등의 값은 Statistics 값이 된다.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ckend] OAuth와 JWT  (0) 2025.06.08
    [Backend] MQ  (0) 2025.05.05
    [Backend] Feign  (0) 2025.03.26
    [Backend] Grafana Loki  (0) 2025.03.06
    [Backend] gRPC  (1) 2025.02.28
Designed by Tistory.